필사 - 시
부부 - 오창렬, 문정희, 함민복
나안
2019. 3. 15. 09:41
말이 없어도, 손을 잡지 않아도
그저 나란히 걷는 걸음 하나로
사랑은 끝까지 이어진다.
부부란,
사랑이 지나간 자리에
말보다 오래 남는 손길과 눈빛으로
여전히 나란히 걷고 있는 사람이다.
부부란, 무거운 상을 함께 들며
보이지 않아도 믿고, 멈추지 않고 맞춰 가는 사람이다.
그래서 함께 걷는 걸음은, 사랑보다 더 오래 간다.
부부 오창렬 늘 허투루 나지 않은 고향 길 장에나 갔다 오는지 보퉁이를 든 부부가 이차선 도로의 양끝을 팽팽하게 잡고 걷는다 이차로 간격의 지나친 내외가 도시 사는 내 눈에는 한없이 촌스러웠다. 속절없는 촌스러움 한참 웃다가 인도가 없는 탓인지도 모르지 사거니 팔거니 말싸움을 했을지도 몰라 나는 또 혼자 생각에 자동차를 세웠다 차가 드물어 한가한 시골길을 늙어 가는 부부는 여전히 한쪽씩 맡아 걷는다. 뒤돌아봄도 없는 걸음이 경행經行같아서 말싸움 같은 것은 흔적도 없다 남편이 한쪽을 맡고 또 한쪽을 아내가 맡아 탓도 상처도 밟아 가는 양 날개 안팎으로 침묵과 위로가 나란하다 이런저런 궁리를 따라 길이 구불거리고 묵묵한 동행은 멀리 언덕을 넘는다 소실점 가까이 한 점된 부부 언덕도 힘들지 않다 * 경행經行 : 질병과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불경을 외우면서 복을 빌던 민간불교행사. |
부부 문정희 부부란 여름날 멀찍이 누워 잠을 청하다가도 어둠 속에서 앵 하고 모기 소리가 들리면 순식간에 합세하여 모기를 잡는 사이이다 많이 짜진 연고를 나누어 바르는 사이이다 남편이 턱에 바르고 남은 밥풀만 한 연고를 손끝에 들고 나머지를 어디다 바를까 주저하고 있을 때 아내가 주저 없이 치마를 걷고 배꼽 부근을 내미는 사이이다 그 자리를 문지르며 이달에 사용한 신용카드와 전기세를 함께 떠올리는 사이이다 결혼은 사랑을 무화시키는 긴 과정이지만 결혼한 사랑은 사랑이 아니지만 부부란 어떤 이름으로도 잴 수 없는 백 년이 지나도 남는 암각화처럼 그것이 풍화하는 긴 과정과 그 곁에 가뭇없이 피고 지는 풀꽃 더미를 풍경으로 거느린다 나에게 남은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하다가 네가 쥐고 있는 것을 바라보며 손을 한번 쓸쓸히 쥐었다 펴 보는 사이이다 서로를 묶는 것이 거미줄인지 쇠사슬인지는 알지 못하지만 부부란 서로 묶여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고 느끼며 오도 가도 못한 채 죄 없는 어린 새끼들을 유정하게 바라보는 그런 사이이다 |
부부 함민복 긴 상이 있다 한 아름에 잡히지 않아 같이 들어야 한다 좁은 문이 나타나면 한 사람은 등을 앞으로 하고 걸어야 한다 뒤로 걷는 사람은 앞으로 걷는 사람을 읽으며 걸음을 옮겨야 한다 잠시 허리를 펴거나 굽힐 때 서로 높이를 조절해야 한다 다 온 것 같다고 먼저 탕 하고 상을 내려놓아서도 안 된다 걸음의 속도도 맞추어야 한다 한 발 또 한 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