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오창렬 늘 허투루 나지 않은 고향 길 장에나 갔다 오는지 보퉁이를 든 부부가 이차선 도로의 양끝을 팽팽하게 잡고 걷는다 이차로 간격의 지나친 내외가 도시 사는 내 눈에는 한없이 촌스러웠다. 속절없는 촌스러움 한참 웃다가 인도가 없는 탓인지도 모르지 사거니 팔거니 말싸움을 했을지도 몰라 나는 또 혼자 생각에 자동차를 세웠다 차가 드물어 한가한 시골길을 늙어 가는 부부는 여전히 한쪽씩 맡아 걷는다. 뒤돌아봄도 없는 걸음이 경행經行같아서 말싸움 같은 것은 흔적도 없다 남편이 한쪽을 맡고 또 한쪽을 아내가 맡아 탓도 상처도 밟아 가는 양 날개 안팎으로 침묵과 위로가 나란하다 이런저런 궁리를 따라 길이 구불거리고 묵묵한 동행은 멀리 언덕을 넘는다 소실점 가까이 한 점된 부부 언덕도 힘들지 않다 * 경행經行 : 질병과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불경을 외우면서 복을 빌던 민간불교행사. |
부부 문정희 부부란 여름날 멀찍이 누워 잠을 청하다가도 어둠 속에서 앵 하고 모기 소리가 들리면 순식간에 합세하여 모기를 잡는 사이이다 많이 짜진 연고를 나누어 바르는 사이이다 남편이 턱에 바르고 남은 밥풀만 한 연고를 손끝에 들고 나머지를 어디다 바를까 주저하고 있을 때 아내가 주저 없이 치마를 걷고 배꼽 부근을 내미는 사이이다 그 자리를 문지르며 이달에 사용한 신용카드와 전기세를 함께 떠올리는 사이이다 결혼은 사랑을 무화시키는 긴 과정이지만 결혼한 사랑은 사랑이 아니지만 부부란 어떤 이름으로도 잴 수 없는 백 년이 지나도 남는 암각화처럼 그것이 풍화하는 긴 과정과 그 곁에 가뭇없이 피고 지는 풀꽃 더미를 풍경으로 거느린다 나에게 남은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하다가 네가 쥐고 있는 것을 바라보며 손을 한번 쓸쓸히 쥐었다 펴 보는 사이이다 서로를 묶는 것이 거미줄인지 쇠사슬인지는 알지 못하지만 부부란 서로 묶여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고 느끼며 오도 가도 못한 채 죄 없는 어린 새끼들을 유정하게 바라보는 그런 사이이다 |
부부 함민복 긴 상이 있다 한 아름에 잡히지 않아 같이 들어야 한다 좁은 문이 나타나면 한 사람은 등을 앞으로 하고 걸어야 한다 뒤로 걷는 사람은 앞으로 걷는 사람을 읽으며 걸음을 옮겨야 한다 잠시 허리를 펴거나 굽힐 때 서로 높이를 조절해야 한다 다 온 것 같다고 먼저 탕 하고 상을 내려놓아서도 안 된다 걸음의 속도도 맞추어야 한다 한 발 또 한 발 |
'필사 -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긍정적인 밥 - 함민복 (0) | 2019.03.25 |
---|---|
이따금 봄이 찾아와 - 나희덕 (0) | 2019.03.25 |
호주머니 - 윤동주 (0) | 2019.03.14 |
저 능소화 - 김명인 (0) | 2019.03.14 |
겨울바다 - 김남조 (0) | 2019.03.14 |